디지털 시대, 다문화가정 여성은 어디에 있나
스마트폰이 일상이 된 시대지만, 모든 국민이 공평하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다문화가정 여성은 여전히 디지털 접근성과 공공 정보 이용 측면에서 소외 계층으로 분류된다.
특히 한국어 이해도가 낮거나, 문자 기반의 정보 전달에 익숙하지 않은 결혼이민자 여성의 경우,
긴급재난문자, 복지신청, 교육일정, 예방접종 등 일상에 필수적인 공공정보조차 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글에서는 다문화가정 여성의 디지털 소외가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공공 정보 접근권 보장의 현실적 방향을
실제 사례와 데이터 중심으로 분석해본다.
디지털 소외, 단순한 기기 미숙의 문제가 아니다
결혼이민자 여성이 디지털 정보에서 소외되는 이유는 단지 ‘기기를 못 다뤄서’가 아니다.
보다 복합적인 구조와 제도적 미비가 원인이다.
다문화 여성의 디지털 소외 주요 원인
구분 | 상세설명 |
언어 장벽 | 한국어 기반 공공 앱, 웹사이트 이해도 낮음 |
문자 해독력 | 문자 기반 정보 전달방식에 익숙하지 않음 |
교육 기회 부족 | 디지털 기기 사용 교육 접근성 제한 |
문화적 거리감 | 기술 활용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존재 |
가정 내 역할 | 가사·육아 집중으로 디지털 정보 탐색 시간 부족 |
중여한 정보에서 계속 소외되는 현실
사례 ①
전남 장흥 거주, 필리핀 출신 L씨
코로나19 시기 정부의 재난지원금 신청 안내가 문자로 왔지만,
문자를 읽지 못해 마감일이 지나도록 신청하지 못했다.
동사무소에 문의했지만 ‘이미 종료됐다’는 말만 들었고,
가족 구성원 누구도 이 사실을 알지 못한 채 지원 기회를 놓쳤다.
사례 ②
경기 안산 거주, 중국 출신 Y씨
자녀 예방접종 예약이 온라인을 통해 진행되는지도 몰랐다.
주변 엄마들이 모두 완료한 뒤에야 뒤늦게 알아 동네 병원을 전전했다.
그 과정에서 아이는 필수 접종을 3개월이나 늦게 받게 되었고,
보건소로부터 경고 문자를 받고서야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했다.
이처럼 정보를 몰라서 피해를 보는 일이 현실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아이, 가족, 건강, 경제 전반으로 이어진다.
공공 정보접근권, 누구에게나 평등한가?
대한민국 정부는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실제 이용자의 상황에 맞춰 설계된 서비스는 많지 않다.
다문화여성은 대부분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 활용률이 현저히 낮은 집단이다.
단순히 “교육만 하면 된다”는 접근은 더 이상 실효성이 떨어진다.
보다 실질적이고 구조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디지털 소외 해소를 위한 정책 대안
정책 유형 | 구체 방안 |
다국어 정보 제공 확대 | 공공앱·웹사이트에 5개 언어 이상 병기 (베트남어, 중국어, 태국어 등) |
음성 기반 안내 시스템 | 문자 기반 정보 외에 ‘음성 통화 알림’ 옵션 제공 |
지역 디지털 중개인 운영 | 다문화센터와 연계한 ‘생활 디지털 도우미’ 배치 |
시간제 디지털 교육 | 돌봄과 병행 가능한 주간/야간 소그룹 교육 프로그램 운영 |
공공기관 전담 통역사 제도 | 읍면동 주민센터 및 보건소에 상주형 다문화 통역사 배치 |
정보 접근의 평등은 ‘기술 접근’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디지털 사회에서 정보는 곧 권력이다.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는 사람은 참여하지 못하고,
참여하지 못하는 사람은 배제된다.
다문화가정 여성은 단순한 정보 수혜자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살아가야 할 주체다.
이들의 공공 정보 접근권을 보장하는 일은
단지 다문화 정책의 일부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디지털 정의를 실현하는 과정이다.
지금 필요한 건,
‘공공 정보가 누구를 위해 만들어졌는가’를 다시 묻는 일이다.